저는 건강 검진을 하면 항상 BMI 지수가 높아 체중 조절이 필요하다는 말을 많이 듣는 편인데,
이제 그런 얘기를 듣지 않는 시대가 올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1. BMI란 무엇인가? (Body Mass Index)
정의: BMI는 체중(kg)을 신장(m²)으로 나눈 값으로, 현재까지 비만 및 과체중을 정의하는 주요 지표로 사용됨.
-비만: BMI 30 이상
-과체중: BMI 25~29.9
장점: 계산이 쉽고 연구에서 일관되게 사용됨. 높은 BMI는 제2형 당뇨병, 고혈압, 심장병 등 만성질환과 관련 있음.
단점: 총 체중만 반영하여 체지방량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못함. 운동선수나 근육량이 많은 사람에게 부정확한 결과를 줄 수 있음. 인종 및 민족 그룹별로 정확도가 다를 수 있음. 비만과 관련된 질환이 없는 사람과 질환이 있는 사람을 구분하지 않음.
2. 새로운 비만 정의 (2025년 제안)
국제 연구진 58명이 참여한 보고서에서 제안된 새로운 정의: BMI는 초기 선별 도구로만 사용하고, 추가적인 평가 지표를 도입 제안. 허리둘레 측정, 허리-엉덩이 비율, DEXA 스캔(체지방율 측정) 등 활용.
비만을 두 가지로 분류:
-임상적 비만(Clinically Obese): 비만이 이미 신체에 영향을 미쳐 당뇨병, 심장병, 관절통 등의 증상이 나타남.
-준임상적 비만(Pre-Clinically Obese): 비만이 있으나, 아직 추가적인 질환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
3. 새로운 접근법이 의료에 미치는 영향
장점: 비만의 개념을 더 정밀하게 정의하고, 치료가 필요한 사람과 예방 관리가 필요한 사람을 구분. 비만을 만성질환으로 인식해 낙인(stigma)을 줄이는 데 도움.
우려점: 보험사가 합병증이 나타나기 전에는 지급을 거부할 가능성. 일부 의사는 합병증이 나타나기 전부터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 할 수 있음.
4. 환자가 관심 가져야 할 사항들
BMI 외에 측정 가능한 다른 지표 요청: 허리둘레, 체지방율 등.
비만 관련 건강 관리: 식습관, 운동, 약물 치료 등의 종합적인 접근. 비만에 따른 질병 위험에 대해 상담.
5. 의료 및 사회적 변화 전망
BMI는 여전히 의료 연구 및 임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바로 대체되기는 어렵지만,
점차 BMI를 단독 지표로 사용하는 것에서 벗어나는 추세.
출처: CNN Health
(주요 어휘)
정의: 어떤 말이나 사물의 뜻을 명백히 밝혀 규정함. 또는 그 뜻.
지표: 방향이나 목적, 기준 따위를 나타내는 표지.
일관: 하나의 방법이나 태도로써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음.
만성: 병이 급하거나 심하지도 아니하면서 쉽게 낫지도 아니하는 성질.
반영: 다른 것에 영향을 받아 어떤 현상이 나타남. 또는 어떤 현상을 나타냄.
선별: 가려서 따로 나눔.
임상: 환자를 진료하거나 의학을 연구하기 위하여 병상에 임하는 일.
낙인: 다시 씻기 어려운 불명예스럽고 욕된 판정이나 평판을 이르는 말.
합병증: 어떤 질병에 곁들여 일어나는 다른 질병.
'뉴스와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산 AI deepseek 가 NVIDIA를 떨게 만들고 있는 건가? (2) | 2025.01.30 |
---|---|
빨간색 음식 조심하세요. FDA 적색 3호 색소 금지 조치 (0) | 2025.01.29 |
4대 궁궐 무료 개방 등 연휴 전국 문화행사/축제 소식 (2) | 2025.01.27 |
젊은 세대에까지 퍼지고 있는 명절 증후군 (2) | 2025.01.26 |
고지방 명절 음식으로부터 건강을 지키려면 이렇게 (1)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