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와 생활정보

'쉬었음' 청년이라면 국가지원으로 AI 직업교육을 받아보세요

한국어70 2025. 2. 6. 08:10

2025년 청년 대상 디지털 교육 추진 사업을 소개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고용노동부(고용부)는
청년 구직자 위주로 디지털(AI·SW) 교육을 제공 예정이며
5만명 이상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직 중인 청년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1. 주요 지원 프로그램

(1) 고용부 지원 프로그램
① K-디지털 트레이닝 (디지털 직업훈련)
교육 분야: AI, SW, 클라우드, 데이터 분석 등 디지털 신기술
교육 방식: 온라인·오프라인 교육 병행
추가 지원:
우수 교육기관 연계 교육 제공
훈련 수료생의 심화 과정 연계 지원
② K-디지털 플랫폼
기능: 다양한 디지털 직업훈련 과정 정보 제공
활용 방법: 청년들이 원하는 교육과정을 쉽게 찾고 신청 가능
(2) 과기정통부 지원 프로그램
① 맞춤형 단계별 디지털 교육
초급: 기본 SW·코딩 교육 제공
중급: 실무 중심 프로젝트 교육 진행
고급: 전문가 과정 및 연구·창업 지원
② AI 및 디지털 리더 특강
생성형 AI 활용 교육 제공
산업 전문가 초청 강연을 통해 디지털 기술 트렌드 공유
(3) 공동 지원 및 협업 사항
디지털 직업훈련(K-디지털 트레이닝) 수료생이 과기정통부 심화 과정으로 쉽게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
청년 정보포털 '온통청년', '고용24' 등에 교육 프로그램 정보 등록하여 접근성 향상
과기정통부 우수 교육기관 및 교육시설을 고용부 교육 과정(K-디지털 트레이닝)에도 활용

 

2.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청년 정보포털 ‘온통청년’ (https://www.youth.go.kr)
고용부 구직·교육 플랫폼 ‘고용24’ (https://www.work.go.kr)
포털 접속 →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 검색 → 신청
신청 후 교육 일정 및 세부 안내 개별 통보
(2) 고용부 및 과기정통부 공식 홈페이지
고용부: https://www.moel.go.kr
과기정통부: https://www.msit.go.kr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모집 공고 확인
신청서 다운로드 후 온라인 제출 또는 방문 신청 가능
(3) 교육기관 직접 신청
K-디지털 트레이닝 운영기관 및 디지털 교육훈련센터에서 개별 접수
가까운 고용센터 방문 상담 후 신청 가능
교육기관 목록은 ‘온통청년’, ‘고용24’에서 확인 가능

 

3. 신청 후 절차

신청서 제출(포털/홈페이지/오프라인) →교육 과정 매칭 →과정 확정 후 개별 안내 →교육 참여


4. 추가 지원 사항

(1) 취업 연계 및 일경험 제공
디지털 직업훈련 수료 후 관련 기업 및 기관과 연계하여 인턴·일경험 제공
최근 수시·경력직 중심 채용 경향을 반영하여 청년들의 실무 경험 확대 지원
(2) 미취업 청년 대상 특화 지원
고용부에서 발굴한 미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AI 및 디지털 리더 특강 신규 제공
다양한 디지털 분야 직업 탐색 기회 마련
(3) 상담 및 맞춤형 지원
1:1 맞춤형 상담 서비스 제공 (직업능력개발 상담 포함)
취업 지원 및 연계 서비스 강화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주요 어휘)

추진: 목표를 향하여 밀고 나아감.

위주: 으뜸으로 삼음.

병행: 둘 이상의 일을 한꺼번에 행함.

연계: 어떤 일이나 사람과 관련하여 관계를 맺음. 또는 그 관계.

통보: 통지하여 보고함. 또는 그 보고.

개별: 여럿 중에서 하나씩 따로 나뉘어 있는 상태.

확정: 일을 확실하게 정함.

수료: 일정한 학과를 다 배워 끝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