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 어린이 제품 안전 강화 제도 확인 해 보세요
해외직구 어린이 제품 안전 강화를 위한 제도가 발표 되었습니다.
자녀가 있으신 분들은 참고 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1.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1) 어린이제품 안전관리 제도 개선
어린이·성인 공용 제품 안전관리 확대.
생활용품(바닥재 등)에 주의·경고 표시 신설.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 개정 (사용연령 제한 및 주의·경고 표시 강화.)
안전관리 대상 품목 조정 (일부 품목을 공급자적합성확인대상으로 전환.)
야외 운동기구 등 신종 품목 신규 지정.
품목별·검사항목별 부적합 처리 기준 재검토 및 가이드라인 개발.
2) 융복합·신기술 어린이제품 안전관리 체계 구축
야외 운동기구 및 자외선 이용 완구 등의 안전기준 신규 도입 및 개정.
시험검사방법 개선 및 주의·경고 표시 강화.
안전기준조사연구센터 신설 (민관협력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3) 어린이제품 안전관리 기반 조성
기업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 (위해성 자가진단 프로그램 개선·보급.)
표시사항·주의사항 자동 생성 서비스 시스템 제공.
우수기업 지원 (시험검사주기 연장, 비용 지원, 포상 제도 활성화.)
인증 제도 개선 (안전확인신고 유효기간 폐지.)
KC인증 면제 업무 단일화 추진.
제품 부속품 인증 통합 유도.
2. 관세청
1) 해외직구 및 온라인 거래 안전관리 강화
유해한 해외직구 어린이제품의 국내 유입 차단 (유해 제품 반입 금지 조치 요청.)
3. 한국제품안전관리원
1) 해외직구 어린이제품 안전관리 체계 강화
해외직구 어린이제품의 안전성 조사 및 결과 공표.
유해제품 판매페이지 삭제 권고.
43개국 리콜 제품 정보를 제품안전정보센터에 공개.
불법 어린이제품 모니터링 확대 및 판매 차단 조치.
2) 융복합·신기술 제품 대응
안전기준조사연구센터 신설 및 운영.
4. 온라인 플랫폼 및 쇼핑몰 운영사
1) 안전한 국내 유통환경 조성
온라인쇼핑몰 협의체 참여사 20곳으로 확대.
어린이제품 분과 신설 및 운영사 대상 제품 안전관리 교육 강화.
불법 어린이제품 판매페이지 삭제 조치 추진.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주요 어휘)
공용: 함께 씀. 또는 그런 물건.
신설: 새로 설치하거나 설비함.
조정: 어떤 기준이나 실정에 맞게 정돈함.
가이드라인: 지침, 방침
융복합: 융합( 다른 종류의 것이 녹아서 서로 구별이 없게 하나로 합하여지거나 그렇게 만듦. 또는 그런 일. ) + 복합( 두 가지 이상이 하나로 합침. 또는 두 가지 이상을 하나로 합침. )
체계: 일정한 원리에 따라서 낱낱의 부분이 짜임새 있게 조직되어 통일된 전체.
구축: 체제, 체계 따위의 기초를 닦아 세움.
개정: 주로 문서의 내용 따위를 고쳐 바르게 함.
개선: 잘못된 것이나 부족한 것, 나쁜 것 따위를 고쳐 더 좋게 만듦.
기반: 기초가 되는 바탕. 또는 사물의 토대.
조성: 무엇을 만들어서 이룸.
역량: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힘.
면제: 책임이나 의무 따위를 면하여 줌.
유입: 문화, 지식, 사상, 돈, 물품 따위가 들어옴.
반입: 운반하여 들여옴.
리콜: 어떤 상품에 결함이 있을 때 생산 기업에서 그 상품을 회수하여 점검ㆍ교환ㆍ수리하여 주는 제도.
플랫폼: 정보 시스템 환경을 구축하고 개방하여 누구나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반 서비스.
협의체: 어떤 중대한 일을 의논하기 위하여 구성한, 일정한 체계를 가진 조직체.
분과: 업무를 분담하기 위하여 몇 개의 과로 나눔. 또는 그렇게 나누어진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