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와 생활정보

다가오는 이사철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 활용 해 보세요

한국어70 2025. 2. 11. 08:13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는 가전제품을 무상으로 수거 해 주는 공공 서비스로,
일반 쓰레기 처럼 쉽게 버릴 수 없거나 처리 방법을 몰라 방치되는 가전제품을 수거하여
부품을 재활용하고 폐기물 배출을 줄이기 위해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에서 운영하는 서비스 입니다.

이사 시 처치가 곤란한 가전제품이 생기면 신청 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운영 기관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지자체가 가전제품 제작·판매사와 협력하여 진행

 

2. 목적

 -폐가전의 친환경 재활용 확대 및 폐기물 감소

 

3. 비용

 -무료

 

4. 이용 방법

 -온라인 신청: e-순환거버넌스 누리집 접속 후 신청
 -전화 신청: 1599-0903으로 문의 후 신청
 -아파트 관리 앱 신청: 아파트아이, 아파트리, 아파트너 등 아파트 관리 앱을 통해 간편 신청 가능

 

5. 수거 기준

 -대형가전(냉장고, 세탁기, TV 등): 1개부터 수거 가능
 -설치가전(에어컨, 벽걸이 TV 등): 미리 분리해야 하며, 사다리차 등 장비 필요 시 수거 불가
 -소형가전(핸드폰, 공기청정기, 전자레인지 등): 5개 이상부터 수거 신청 가능

 

6. 배출 방법

 -집 근처 ‘폐가전 수거함’을 이용해 직접 배출 가능, 자원순환실천플랫폼에서 가까운 수거함 위치 확인

 

7. 문의처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 한국환경공단 ☎ 1599-0903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주요 어휘)

수거: 거두어 감.

방치: 내버려 둠.

공단: 국가적인 차원의 일정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된 특수 법인의 하나.

지자체: ‘지방 자치 단체’를 줄여 이르는 말.

거버넌스(governance): 통치, 관리; 통치[관리] 방식

누리집: 개인이나 단체가 월드 와이드 웹에서 볼 수 있게 만든 하이퍼텍스트.

배출: 안에서 밖으로 밀어 내보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