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무료 강좌 등 해양수산부 온라인 교육 센터 활용방법
1. 교육기관 '국가해양환경 온라인 교육센터' 개요
2022년 2월 개설, 현재까지 누적 사용자 10만 명 돌파.
4개 주요 주제(해양쓰레기, 탄소중립, 갯벌, 해양보호생물)로
연령별 맞춤 교육 제공 중.
초등, 중·고등, 성인 대상 강좌 운영.
기존 9개 강좌 포함 총 12개 강좌 무료 제공.
2. 교육 주제별 상세 내용
① 해양쓰레기
▶ 강좌 대상: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일반인(성인)
▶ 주요 내용
해양에 버려지는 쓰레기의 종류와 발생 원인
해양쓰레기가 생태계 및 인류에 미치는 영향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 방법(예: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해안 정화 활동)
② 탄소중립(기후변화와 해양환경)
▶ 강좌 대상: 중·고등학생, 일반인(성인)
▶ 주요 내용
기후변화와 해양환경의 관계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해양 온난화, 해수면 상승 문제
탄소중립의 개념과 실천 방안(재생에너지, 친환경 해양산업 등)
③ 갯벌
▶ 강좌 대상: 초등학생, 일반인(성인)
▶ 주요 내용
갯벌의 생태적 가치와 다양한 생물 서식지 역할
갯벌이 제공하는 경제적·환경적 혜택(수산업, 탄소 흡수원 등)
갯벌 보전 및 복원 노력(람사르 습지, 습지 보호지역)
④ 해양보호생물
▶ 강좌 대상: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일반인(성인)
▶ 주요 내용
해양보호생물(예: 상괭이, 바다거북, 붉은발말똥게 등)의 특징과 서식 환경
해양생물 멸종 위기 원인(남획, 서식지 파괴, 기후변화)
해양보호생물 보호를 위한 법과 제도(해양생태계법, 해양보호구역 등)
3. 2024년 추가 된 내용
초등학생 강좌: 게임 요소 접목하여 흥미 유발
성인 대상 해양보호생물 강좌: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통역 제공
4. 교육정보 확인 방법
국가해양환경 온라인 교육센터에서 신청 (공식 홈페이지 https://edu.merti.or.kr)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주요 어휘)
해양: 넓고 큰 바다. 태평양ㆍ대서양ㆍ인도양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누적: 포개어 여러 번 쌓음. 또는 포개져 여러 번 쌓임.
탄소중립: 기업이나 개인이 발생시킨 이산화탄소 배출량만큼 이산화탄소 흡수량도 늘려 실질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zero)’으로 만든다는 개념.
생태계: 어느 환경 안에서 사는 생물군과 그 생물들을 제어하는 제반 요인을 포함한 복합 체계.
정화: 불순하거나 더러운 것을 깨끗하게 함.
온실가스: 지구 대기를 오염시켜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가스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이산화 탄소, 메탄 따위의 가스를 말한다.
온난화: 지구의 기온이 높아지는 현상.
해수면: 바닷물의 표면.
서식지: 생물 따위가 일정한 곳에 자리를 잡고 사는 곳.
람사르 습지: 전 세계를 대상으로 습지로서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람사르협회가 지정, 등록하여 보호하는 습지를 말한다.
남획: 짐승이나 물고기 따위를 마구 잡음.
접목: 둘 이상의 다른 현상 따위를 알맞게 조화하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